도통진경(3)
-
신(神)과 인간(人間)관계에 대한 소고(小考)
신 일 호 1. 머리말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종교」라고 표방하거나 인식되어지는 경우에 신에 대한 관념이 내재되어 있지 아니한 종교는 거의 전무(全無)하다. 만일 인간이 완전한 존재라면 종교내지는 신의 존재가 필요치 않겠으나 유한한 존재로서 한계를 인식할 수 밖에 없는 인간은 신적인 존재와의 교섭이 불가피하다 하겠다. 다시 말해 인간에게 있어서는 종교와 그에 결부된 신적인 존재가 인류역사의 시발과 함께 요구되어져 왔으며, 각각의 종교는 이러한 상황들을 지속적으로 수용하여왔다. 이것은 인류가 우주의 근원적인 이치와 원리를 터득하고자 하는 노력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인간이 자기완성을 목적으로 한 신인조화를 위해 갖추어야 할 자세는 과연 어떠한 것인가. 수도인의 입장..
2025.04.03 -
세립미진(細入微塵)
글 교무부 상제님의 말씀을 항상 마음에 새겨 언행과 처사가 일치되게 생활화하여 세립미진(細入微塵)되고, 마음이 무욕청정(無慾淸淨)이 되었을 때 도통진경에 이르니라. (『대순지침』 p. 39.) 도전님께서 도통은 바른 수도생활 속에서 닦은 바에 따라 주어진다고 『대순지침』에 말씀하셨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바른 수도생활을 할 것인가에 대해서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도전님 말씀 가운데 도통진경의 선행(先行)으로써 이루어야 할 세립미진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세립미진의 뜻은 “상제님의 말씀을 항상 마음에 새겨 언행과 처사가 일치되게 생활화하여”에서 미루어 짐작해볼 수 있다. 먼저 세립미진을 직역하면 ‘세밀하게는 미세한 티끌까지 생각이 미친다.’라는 의미로, 세립미진이 되게 하기 위해서는 다..
2025.03.25 -
도통진경의 실천적 의미 이해
교무부 박병만▲ 여주본부도장 벽화 「심우도」, ‘도통진경’ (2023년 5월 촬영) 도전님께서 우리 대순진리회를 창설하신 목적을 명시한 글이 바로 『대순진리회요람』의 「취지(趣旨)」문이다. 아래는 그 글의 일부인데, 우리가 목표로 삼아 지향하는 도통을 위해 어떻게 수도해야 하는가에 대한 방법과 과정이 제시되어 있다.오직 우리 대순진리회(大巡眞理會)는 성(誠)ㆍ경(敬)ㆍ신(信) 삼법언(三法言)으로 수도(修道)의 요체(要諦)를 삼고 안심(安心)ㆍ안신(安身) 이율령(二律令)으로 수행(修行)의 훈전(訓典)을 삼아 … 음양합덕(陰陽合德) 신인조화(神人調化) 해원상생(解冤相生) 도통진경(道通眞境)의 대순진리(大巡眞理)를 면이수지(勉而修之)하고 성지우성(誠之又誠)하여 도즉아(道卽我) 아즉도(我卽道)의 경지..
2025.03.19